분류 전체보기 (59) 썸네일형 리스트형 Windows Memory Mapped File (MMF) Window 환경에서 Shared Memory 기능이 필요하여 정리하게 되었다. 정의 메모리 맵 파일(Memory mapped file, MMF)은 운영 체제에서 파일을 다루는 방법중 하나다. 물리 디스크 파일, 장치, 공유 메모리 객체와 같이 운영 체제에서 파일로 다루는 모든 대상에 대해서 사용가능하며, 메모리 맵 파일을 통해 프로세스의 가상 메모리 주소 공간에 파일을 매핑한 뒤 가상 메모리 주소에 직접 접근하는 것으로 파일 읽기/쓰기를 대신한다. 장점 1. 직접적인 파일 입출력이 필요 없음 2. 파일 처리를 위한 추가적인 자료 구조가 필요 없음 3. 전통적인 파일 입출력 Api 보다 속도가 빠름 4. 프로세스간 메모리 공유 가능 단점 1. 파일의 크기(EOF의 위치)를 변경할 수 없음 2. 최적의 파.. Memory Mapped File (MMF) Memory Mapped File (MMF)의 정리는 개념 및 용어를 참고하기 바란다. 구현 방법에 관한 글이다. MMF는 Write하는 부분과 Read하는 부분으로 나뉜다. 먼저 Write하는 부분의 구현 과정은 아래와 같다. 1. 파일의 생성 HANDLE hFile = CreateFile(...) 2. 파일 연결 오브젝트 생성 HANDLE hMapFile = CreateFileMapping(hFile, ...) 3. 가상 메모리에 파일 연결 char * chContext = (char *)MapViewOfFile(hMapFile, ...) 4. 가상 메모리와 파일 연결 해제 UnmapViewOfFile(chContext) 5. 파일 연결 오브젝트 해제 CloseHandle(hMapFile) 1단계는 .. Console 창 MFC에서도 간단한 출력을 위해 Console 창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알아본 바로는 3가지 방법이 존재 하지만 1번 방법을 추천한다. 나의 경우에 2,3번 방법은 동작하지 않았다. 1. 미리 컴파일된 헤더에 아래와 같은 선언을 한다. 미리 컴파일된 헤더는 VS버전에 따라 stdafx.h, framework.h로 존재한다. 2. App의 InitInstance에서 AlloConsole()호출 3. 프로젝트 > 속성 > 링커 > 시스템 > 하위 시스템 이전 1 ··· 5 6 7 8 다음